1. 가치와 기능과 코스트와의 관계
사물이나 작업에는 반드시 그 기능이 있습니다. 그리고, 그 기능에 따른 코스트가 반드시 소요되게 마련입니다. 이 관계를 도시하면 [그림 4]와 같습니다. 즉, 어떤 기능(F)을 달성하는데 소요되는 코스트(CF)와 그 기능에 소요되어야 할 코스트(C)와의 비율이 가치(V)가 됩니다. 이를 간단한 보기로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들이 물품과 업무에 대해 만족하는 정도란 요구정도에 대해 지불하는 금액의 비율로 결정됩니다.
2. 가치분석(VA/VE)의 의의와 목적
가치분석(value analysis or value engineering : VA/VE)에 관한 미국 국방성의 정의를 보면 최저의 총코스트로 필요로 하는 성능 · 신뢰성 ·품질·보전성을 떨어뜨림이 없이 필수기능을 달성함을 목적으로 하여 국방시스템 · 장치 · 시설 · 수속·보급품(여기서는 언급이 안되었으나 제품과 부품을 포함한다고 볼 수 있을)의 기능상의 조직적인 노력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한편, 미국경영자협회(AMA)에서는 가치분석(VA/VE)이란 구하는 기능을 최소의 자원비용으로 달성하기 위하여 (제품값어치(worth)의 제요인]/[제품원가 (cost)의 제요인의 관계를 검각(檢覺)함으로써 제품가치(value)를 향상시키기 위한 기능추구의 과학적인 방법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가치분석의 창시자인 미국 GE회사의 마일즈(L.D.Miles)는 가치분석(VA/VE)이란 제품공정 및 서비스에 공헌하지 않는 원가요소(또는 노력요소)들을 식별하고 제거하는 시스템이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이상의 여러 정의들을 보건대, 가치분석이란 제품(또는 부분품, 공정, 서비스)의 성능 내지 신뢰도를 높이고 불필요한 원가요소들을 효과적으로 식별하여 이를 제고할 목적으로 ① 정신집중 ② 문제 설정 ③ 문제해결을 단계적으로 행하는 조직적인 노력입니다.
바꾸어 말해서, 가치분석은 다음에 열거한 제품 내지 서비스의 전 사이클 단계에서 불필요한 원가요소들을 가려내고 이를 제거할 목적으로 체계적이며 유기적으로 정리된 하나의 원가절감시스템이라 할 수 있습니다.
설계전 단계② 설계 착상 단계③ 설계 단계④ 구매 단계 ⑤ 생산, 가공 단계⑥ 원가개선 단계
전술한 가치분석(VA)의 정의에서 불필요한 원가요소의 제거란 최저 원가를 의미하는 고로 VA란, 최저원가로서 필요한 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행하는 조직적인 노력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말하는 필요한 기능이란 성능(또는 사용가치)과 동일한 의미로 보아야 하고 필요하다고 하는 것은 실제 필요로 하며 요구되고 있는 것 이상인 것도 아니며 이하의 것도 아니라는 뜻입니다.
3. 가치분석의 대상과 적용범위 및 시기
1) 가치분석의 대상
가치분석의 대상을 대별해서 물자와 서비스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물자에는 제품, 부분품, 자료, 장치, 설비, 시설, 보급품, 소모품, 에너지 등을 열거할 수 있는 것으로, 이들은 모두 가치분석의 대상이 됩니다. 서비스 또한 다양한 것으로, 예컨대 병원에서의 의료봉사, 호텔에서의 봉사, 행정관서의 사무, 학교기관의 사무 등이 모두 가치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기업에서 중요한 물자, 즉 제품, 원자재, 부품, 에너지, 기계 설비 및 장치 등의 입장에서 볼 때, 기업의 VA대상을 다음과 같이 나누어 볼 수 있습니다.
① 신제품: 신규의 개발품 · 생산품 · 구매품 등
② 기존제품: 기존의 생산품 · 개량품 · 구매품 등
③ 반제품: 자가 제작품
④ 외주품: 외주 가공품 완성 외주품 등
⑤ 구매품 : 외부로부터 구입되는 물품일절(기계설비 공구 등도 포함)
⑥ 에너지 : 열에너지, 전기 에너지 등
⑦ 건물 · 장치 등
이밖에 가치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는 것으로는, ○ 언제나 문제가 되고 있는 것. ○ 특정기능에 대해서 코스트가 높지 않은가 의심되는 것.○ 어떤 물품의 구매에 성공한 경우, 다름 품목에도 비슷한 방법이 적용될 가능성
이 있는 것. 이 규격에 맞지 않는 경우 ○ 반복해서 대량구입되는 물품 등입니다.
특히, 가치분석에 있어 중점을 두어야 할 대상으로는,
① 원가율이 높은 것,
②고가품목(가령 ABC관리 품목 중 A품목),
③ 불량률이 높은 것,
④ 적자제품 등을 들을 수 있다.
가치분석을 맨처음 시도할 때에는 가치 분석의 대상을 선정함에 있어서, ㅇ 가급적 분석하기 쉬운 것○ 성과를 올리기 쉬운 것○ 단기간에 성과를 올릴 수 있는 것○ 효과측정, 즉 금액 환산이 용이한 것 O PR효과가 큰 것부터 골라서 추진함이 효과적입니다.
2) 가치분석의 적용범위
전술한 VA의 대상에서도 언급한 바와 같이 가치분석의 적용범위는 매우 광범위합니다. 가치분석의 적용범위에 대해서 미국구매 관리자협회의 Cutting Costs of Analyzing Value라는 자료에 의하면 가치분석활동에 의해서 얻어지는 중요한 이익 항목으로서 다음 13가지의 항목들을 열거하고 있습니다.
매기술의 개선에 의한 가치 증진② 보다 나은 공급업자에 의한 가치 증진③ 설계의 재평가 및 수정에 의한 가치 증진④ 제조방법(공법) 개선에 의한 가치 증진⑤ 사업비절감에 의한 가치 증진⑥ 건물 및 부속설비의 보전비 절감에 의한 가치 증진⑦ 표준화에 의한 가치 증진⑧ 원자재 및 에너지 대체 (변경)에 의한 가치증진⑨ 포장개선에 의한 가치 증진① 재료취급 및 공장내 운반개선에 의한 가치 증진① 재고관리개선에 의한 가치 증진② 수송 및 운반작업개선에 의한 가치 증진③ 소모품 및 에너지의 사용량 절감에 의한 가치 증진 이상 열거한 13가지의 항목들을 업종별로 나누어 적용여부를 표시한 것이 [표 4]이다. 전술한 바, 가치분석기법의 적용범위는 구매부문을 비롯하여 제품개발부문, 설계부문, 생산기술, 자재, 영업 등의 각 부문에 적용될 수 있습니다. 이들 부문별로 가치분석기법을 적용함에 있어 취해야 될 몇 가지 조치와 착안점을 제시하면 [표 5] 및 [표 6]과 같습니다.
3) 가치분석의 적용시기
흔히는 제품설계 후에 제품의 기능과 원가를 분석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이 설계 후에 가치 분석을 행하는 방법을 가리켜 가치개선(value improvement)이라고도 부르는데, 제품생산 이전에 실시하는 것보다 수월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기업에서는 이 방법을 많이 취하고 있다. 그러나 제품원가는 설계단계에서 거의 결정되어지므로 생산을 개시하기에 앞서 제품설계의 단계에서 가치분석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가치분석의 실시가 너무 이르면 오히려 역효과가 생길 수도 있습니다. 가령, 최초의 설계(initial design)에 이어 수정이나 변경이 있게 되면 전체가 뒤범벅이 될 위험이 있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제품설계시 가치분석을 효율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는 기초설계를 끝내고 기능 설계에 들어가기 전에 행하여야 합니다.
4. 현장의 가치분석 실시 절차
1) 현장 VA 활동의 기본적인 실시 절차
현장의 VA 활동은 아무래도 좋다고 하는 태도나 마음가짐으로 추진해 나가려 하다가는 성공하지 못하고 맙니다. 그룹 멤버와 협력하여 신중하게 테마를 선정하고 정보를 수집, 하나하나씩 기능을 분석하여 적극적으로 아이디어를 내고 모아서 발상을 180도로 전환시켜 다이나믹하게 활동하지 않으면 안된다. VA(VE) 활동이라 해서 QC나 IE 활동절차와 특별히 다른 것은 아닙니다. 일단 목표를 달성하고 있는 상태(현재 좋다고 생각하고 있는 상태)에 대하여
① 현상을 조사한다.
② 기능 및 목적과 수단의 관계를 정확하게 파악한다.
③ 기능을 달성하고 있는 현상의 구체적인 방법의 타당성을 검토한다(가치가 높은가, 낮은가, 그 결과가 나온다). 가치가 낮은 경우는 (만일 문제가 있으면)
④ 기능을 달성하는 모든 방법, 수단을 검토한다.
⑤ 가장 훌륭한 방법을 뽑아낸다.
⑥ 대체안을 구체화한다.
⑦ 기능을 보다 싸고, 확실하게 달성하는 가장 훌륭한 상태
훌륭한 상태를 한층 더 향상된 상태로 만들기 위해서는 ①에 피드백하여 재개선을 합니다.
2) 현장 VA 활동의 구체적인 실시사항
현장의 VA 활동을 구체적으로 실시하는 경우, 기본적인 실시 사항에는 다음에 표시하는 5항목이 있다. 이 항에 따라 구체적으로 전개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제조공정의 실태, 본래의 모습을 파악한다 제조공정의 기능 정의① 그 제조공정은 어떠한 공정인가.① 그 라인에서 생산하고 있는 제품은 무엇인가.㉡ 각 제조공정의 명칭은.㉢ 라인의 공정작업 체계는 어떻게 되어 있는가.ⓐ 그 공정에서 만들어 넣는 품질은 무엇인가.② 그 제조공정이 달성하는 기능은 무엇인가. ① 왜 그 공정이나 작업이 필요한가.
만일 그 공정이 없으면 어떻게 되는가.·그 공정은 절대로 필요한가.· 없어도 되는가. 간략화는 할 수 없는가.
(2) 제조공정 기능의 목적, 수단과의 관계를 체계적으로 파악한다 목적 · 수단의㉡ 그 대체 안의 단점은 무엇인가.㉢ 그 결점의 해결에 대해 다시 아이디어를 내었는가.
3) 현장의 구체적인 VA 적용 절차 7단계
현장에서 VA 활동을 추진할 때 VA의 기본적인 추진 절차에 따라 다음 [표 7] 과 같이 전개하는 것이 중요하다. 특히, 정보의 수집, 기능의 정의, 기능의 정리, 기능의 평가 등 각 절차는 반드시 실시해야 합니다.
특히, VA 질문법은 VA를 확실히 실시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합니다. 이 질문법과 VA의 기본적 절차를 [표 8]과 같이 조합시킴으로써 올바른 VA 활동을 추진할 수 있게 됩니다.
'factory operatio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재관리의 기능과 영역 (0) | 2020.06.19 |
---|---|
기업물류 및 물류관리 (0) | 2020.06.18 |
공장 검사단위 및 품질판정 기준 (0) | 2020.06.16 |
공장검사와 품질보증시스템 (0) | 2020.06.15 |
공장 표준화 품질관리와 통계적 제기법 (0) | 2020.06.14 |